부동산/프로젝트

성수동 동향 2023년 1월

노나우 2023. 1. 24. 10:23
반응형

성수동 동향을 체크합니다.

주요 동향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직간접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보고서(서울도시계획포털)를 첨부합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보고서.pdf
7.78MB

 

 

동부간선도로, 영동대로 지하화

2022.12.16.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 안건 의결,

                    기획재정부 제4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 

                      - 대우건설 컨소시엄(우선협상대상자)

                      - 1조원 규모(2015년 기준 금액)

                      - BTO 방식

2023.01.11~2023.01.19.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민자사업에 대한 주민설명회 

2023.01.12. 4공구(재정구간) 기본설계기술제안 설계적격심의

                      - 대우건설 컨소시엄 1위

                      - 3600억원 규모

2023. 하반기. 민자사업 착공 예정

2028. 하반기. 4공구(재정구간) 개통 목표

* 4공구(재정구간)은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할텐데, 대우건설이 현대건설과의 2파전에서 앞섰습니다.

사진(좌.이코노미스트, 우.뉴스웨이)

 

삼표레미콘 부지

2022.09.06. 삼표레미콘 성수공장 철거 완료 및 폐업신고
2022년. 토지매각: 현대제철->삼표산업(3,824억원)
  - 사업권: 에스피에스테이트(삼표그룹의 부동산 전문 계열사)
2022.12.28.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대상지 선정
  - 용도지역 상향(1종 일반주거지역→상업지역)
  - 공공기여금 6천억원은 서울숲 고도화, 첨단 문화거점 조성, 광역적 교통체계 개선, 

    공공시설 확충 등에 활용
  - 서울숲과 연계한 업무·상업·첨단문화 거점으로 변화(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

* 삼표그룹의 승계 관계도 참고가 될 듯합니다.

사진(좌.아시아경제, 우.연합뉴스)

 

서울숲복합문화체육센터

2022.7월. 개관(연면적 5천589㎡ 4층 규모)
  - 수영장(5레인), 헬스장, 옥상 실외 풋살장, 볼링장(8레인), 다목적체육관

  - 음악실, 유튜브 스튜디오, 소회의실

* 유수지 위치에 문화체육시설이 조성되었습니다.

사진(좌.신아일보, 우.최 차장 네이버블로그)

 

 

성수전략정비구역

2022.12월. 한강변 35층 룰 완화(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2023.04.26. 토지거래허가구역 2회차 지정기한 만료일 - 연장 여부 체크

 

 

 

이마트 본사 개발

2021.10월. 이마트 본사 및 성수점 토지 및 건물 매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크래프톤x미래에셋자산운용 컨소시엄

2022.01월. 잔금기한(잔금 납입 보도 검색 안됨)

2022.07월. 크래프톤 신사옥 조감도 자료 있음

    - 영국 건축가 David Chipperfield

* 최근 크래프톤의 신작 흥행부진과 실적 하락이 사업에 부담을 줄 수 있겠습니다.

그림. YKTM(네이버블로그)

 

 

 

지하철 2호선 지하화

2022.11. 언론보도(송파구) 
    - 송파구의회 장종례 의원 “지하철 2호선 지하화 추진 촉구” 

2023.01. 언론보도(광진구) 
    -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지상철도 지하화 단계적 검토됨.  
    - 그다음 순서는 국토교통부의 도시철도기본계획임(포함시 국비 지원 근거 마련)
    - 광진구는 기금을 적립해 의지를 피력할 것
* 최근 서울시나, 성동구에서는 별다른 언론 보도가 없는 상황입니다.

 

 

 

성수동 업무 지구

* 입주기업 

  - SM엔터테인먼트(디타워, 2021.7.)

  - 무신사(무신사 캠퍼스 N1, 2022.9.)

  - 쏘카 등

 

* 입주예정기업

  - 크래프톤

  - NFT 관련(네오밸류)

 

* 성수동의 오피스 예정 공급량이 점증하고 있습니다.

사진. 알스퀘어

 

화이트존

2023.01.05. 도시계획 혁신 방안 발표(국토교통부)

  - 토지용도를 공공이 아닌 도시개발자가 정하는 한국형 화이트존 도입 여부 

  -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와 같은 고밀융복합시설 개발 활성화 취지

  - 서울시내 노후 공업지역 개발 탄력 기대

  - 단일용도 70%이하로, 주거용도 50%이하로 한정

  - 각 지자체가 지정권한 있음

  - 도시혁신구역 지정: 도심내 유휴부지 또는 국공유지 등(예. 용산정비창)

  - 복합용도구역 지정: 성수동 등 준공업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