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거, 산업, 환경 등 넓은 분야에 관심이 있더라도 정보를 얻기가 어렵습니다.
앞으로 무엇이 어떻게 좋아지는 걸까요.
궁금합니다.
서울 > 성수동 > 성수동2가 > 성수동2가 3동 > 서울숲 우방2차에 대해 궁금합니다.
그 동안은 주로 “성수동”에 초점을 두고 소식을 살펴봤습니다.
성수동2가는 성수동1가에 비해 소외되어 있고,
2호선 이북인 3동은 2호선 이남 1동에 비해 비교적 소외되어 있으며,
주변 아파트에 비해 세대수가 적어,
성수동2가 3동에 위치한 서울숲 우방2차 소식은 접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여러 입지적인 장점과 잠재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숲 우방2차에 주목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아마 이 아파트가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구. 성수 우방2차 아파트입니다.)
서울숲 우방2차 아파트에 대해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의 일환으로,
주거인구 및 직장인구의 소득 지출 통계를 살펴보았습니다.
2021년 3월 기준으로 조사한 통계 자료이며,
분석 범위는 서울숲 우방2차 아파트 단지로 한정하였습니다.
* 서울숲 우방2차 주거인구
통계에 의하면 서울숲 우방2차 주거인구는 총434명입니다.
남성과 여성 비율은 51%:49%로 반반의 비율을 보입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24%로 가장 많습니다.
60대(24%) > 20대(18%) > 30대(18%) > 50대(16%) > 40대(13%) > 0~10대(10%) 순입니다.
* 서울숲 우방2차 직장인구
직장인구의 수는 42명입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52%:48%입니다.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6.2%로 가장 많습니다.
40대(26%) = 50대(26%) > 60대 이상(21%) > 30대(17%) > 20대(12%) 순입니다.
* 서울숲 우방2차 소득현황
주거인구의 평균소득은 353만원/월이고, 직장인구의 평균소득은 329만원/월입니다.
2020년 12월 기준 인당 평균 월 소득액을 산출한 것입니다.
통계의 성별 소득현황을 성별 비율로 곱하여 전체 소득현황을 산출하였습니다.
2020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는 소득수준이 다소 올라갔습니다.
주거인구 연령대별 소득 현황은 50대의 소득이 407만원으로 가장 높습니다.
50대(407만원) > 40대(398만원) > 30대(368만원) > 60대(331만원) > 20대(235만원) 순입니다.
직장인구 연령대별 소득 현황 또한 50대의 소득이 388만원으로 가장 높습니다.
50대(388만원) > 40대(373만원) > 30대(341만원) > 60대(321만원) > 20대(211만원) 순입니다.
* 서울숲 우방2차 소비현황
주거인구의 평균소비는 167만원/월이고, 직장인구의 평균소비는 169만원/월입니다.
통계의 성별 소비현황을 성별 비율로 곱하여 전체 소비현황을 산출하였습니다.
* 한계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통계 시스템을 활용하였습니다.
통계자료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못했습니다.
강남 등 몇몇 지역과 비교해보았을 때 다소 평준화된 통계치를 보이는 점이 한계로 보입니다.
개략 검토를 위한 참고자료이지, 정밀 검토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부동산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람코자산신탁 코크렙 운용 현황 (0) | 2021.05.11 |
---|---|
성수동 관심사항 속보 (0) | 2021.04.10 |
서울숲 우방2차(성수 우방2차) 아파트 발전방향 (0) | 2021.03.03 |
서울 지하철 2호선 지하화 공약 하늘숲길 (0) | 2021.03.01 |
이지스자산운용 자산 살펴보기 (0) | 2021.02.19 |
댓글